Altair Korea

About Iseul Jeong

This author has not yet filled in any details.
So far Iseul Jeong has created 1131 blog entries.

배관 시스템의 소음 및 진동 원인 파악

안녕하세요. 다름을 디자인하다, 알테어입니다. 이번에 소개드릴 APA는 수압 리플 문제 시뮬레이션 및 해석에 최적화된 제품인 FLUIDON의 DSHplus입니다. 대부분의 자동차 운전자들은 주차 중에 차량 엔진이 정지하거나 이상한 소리가 나는 불미스러운 형상을 잘 알고 있습니다. 이 같은 문제의 원인은 펌프와 파이프 사이에 상호 작용이 최적화되지 않아서 일어납니다. 자동차뿐만 아니라 모든 유압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부품의 특성을 해석해야 합니다. 이동식 계통의 [...]

2023-04-24T17:25:41+09:002018년 11월 06일|APA|

e-Mobility 혁신을 위한 시뮬레이션의 역할

e-Mobility 빠른 혁신을 위해 꼭 필요한 시뮬레이션 전기화, 연결, 자동화, 공유 이 네 가지 기능은 자동차 및 운송 산업에 획기적인 영향을 미치는 트렌드입니다. 이렇게 상호 연결되는 추세로 다양한 인프라들이 계속해서 통합되고 있으며, 산업에는 지난 수십 년 동안 발생한 변화보다 향후 몇 년 동안에 더 많은 변화가 찾아올 것입니다. 공유 모빌리티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시도들이 일어나고 있음과 동시에 빠르게 성장하고 [...]

2023-04-24T16:37:53+09:002018년 11월 06일|미분류|

[HyperGraph] 선형 데이터를 보간하여 곡선화하는 방법

HyperGraph 에서 선형 데이터를 보간하여 곡선화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보간하는 방법은 2개로 나뉠 수 있습니다. 1. Splines Interpolation 2. Akima Spline Interpolation 아래의 Linear Curve를 활용해서 Spline Interpolation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Curve ID: p1w1c1 Define Curve 기능창을 활용합니다. 1. Spline Interpolation 적용할 그래프를 Add로 추가한 후, Math에 아래와 같이 입력하시면 됩니다. X: p1w1c1.x[0]:max(p1w1c1.x):((p1w1c1.x[1]-p1w1c1.x[0])*0.1) Y: spline(p1w1c1.x,p1w1c1.y,x) 2. Akima Spline Interpolation 적용할 그래프를 Add로 추가한 [...]

2023-04-21T10:27:05+09:002018년 10월 29일|모델링&시각화|

알테어, 구조 해석 소프트웨어 SimSolid 인수

SimSolid는 디자이너, 설계자 및 시뮬레이션 해석엔지니어를 위한 획기적인 시뮬레이션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SimSolid는 설계 엔지니어를 위해 특별히 개발된 구조 해석 소프트웨어 입니다. 기존 FEA 수행시 가장 많은 시간과 전문성이 필요한 기하학적 단순화와 메싱 두 가지 기능이 제거되었습니다. 또한 SimSolid는 기존의 FEA에서는 실용적이지 않은 복잡한 부품 및 대형 조립품을 해석하여 데스크톱 클래스 컴퓨터에서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SimSolid는 빠르고 정확하게 자체 [...]

2023-04-24T16:12:08+09:002018년 10월 23일|뉴스룸|

Flux 적응기 3편 – Flux supervisor 1부;Flux 문서열람

안녕하세요 이론에 이어 Flux 실행 시 가장 처음에 만나는 Flux supervisor 에 대해 알아볼려고 합니다. Flux supervisor는 말 그대로 Flux 관리자 역할을 하여 그 활용성이 높으니 알아두시면 많은 궁금한 점들을 해결하실 수 있습니다. 총 3부로 연재할 예정이고 이번편은 그 첫 시작으로 Flux supervisor 소개와 문서열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본편은 Flux 2018.1 버전을 기준으로 하여 타버전과 다를 수 있습니다.) Flux supervisor [...]

2023-04-23T22:08:45+09:002018년 10월 10일|Flux & FluxMotor|

피로 해석에 주파수 영역을 사용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다름을 디자인하다, 알테어입니다. CAEfatigue Limited 의 경우 피로 해석을 수행할 때 주파수 영역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를 묻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를 간단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자동차 분야에서의 예를 들면, 주행 성능 시험장에서 이루어진 테스트 결과에서 RLD(Road Load Data)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데미지 계산을 살펴보겠습니다. 차량 주행 테스트를 진행하는데 있어 이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의 작업 흐름은 상당히 직관적입니다. 시험 차량에는 [...]

2023-04-24T17:27:02+09:002018년 10월 05일|APA|

기업에서 해석 모델과 연계된 MBSE를 원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다름을 디자인하다, 알테어입니다. MBSE(Model Based Systems Engineering)은 현재 시스템 엔지니어링 커뮤니티에서 널리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MBSE 시스템 모델(예: SysML)은 라이프사이클 전체에 걸쳐 시스템 또는 제품의 상태(요구 사항, 구조, 동작 및 핵심 매개변수 값)를 추적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Word, PowerPoint 또는 Excel 파일을 사용하는 시스템 엔지니어링의 기존 "문서 기반” 방법과 비교하면, 시스템 엔지니어의 역량이 오랫동안 상승해온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한 시스템 [...]

2023-04-24T17:26:24+09:002018년 10월 05일|APA|

제 8편 – Macro Recording 기능 소개

Macro Recording은 CADFEKO에서 제공되는 기능으로, CADFEKO에서 작업한 모든 이력을 스크립트 언어(lua)로 기록해 줌으로써, 복잡한 작업을 반복 수행하거나 시뮬레이션의 자동화(Automation)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Macro Recording 기능의 사용방법을 다이폴 안테나의 시뮬레이션 절차로 설명합니다. 1. CADFEKO를 열고 Home 탭에서 "Record macro"를 클릭하여 기록을 시작합니다. 2. 다이폴 안테나를 아래 절차로 설정합니다.  1) 주파수설정: Single frequency 300 MHz & 안테나 그리기: Line length 0.5 meter [...]

2023-04-23T18:24:52+09:002018년 10월 04일|Feko: 쉽게 써보자|

2+2=3.5 또는 4 또는 6.8? – 금속 부품의 강도 평가 표준화

  2+2 = 3.5 또는 4 또는 6.8 ? 위의 제목이 과장이라 생각될 수도 있지만, 이는 금속 부품의 강도 평가할 때 볼 수 있는 실제 상황입니다. 사람들은 금속 부품들이 수세기에 걸쳐 만들어졌기 때문에 부품의 기계적 강도를 평가하는 일은 별로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여러 명의 엔지니어에게 똑같이 시뮬레이션 된 FEA 결과를 제공하면 정적 강도를 간단히 [...]

2023-04-24T17:27:40+09:002018년 10월 01일|APA|

[SimLab] 볼륨메쉬를 생성하려 하는데 Body 내부에 또 다른 Body가 있다면??

아래 그림과 같이 1) Box Body 안에 2) 43개의 Body가 있습니다. 해당 모델은 아래와 같이 모델링을 완성하려고 합니다. Box Body와 내부에 43개 Body에 Tetra 볼륨메쉬 생성 Box Body 내부에 볼륨메쉬 생성 시 43개 Body와는 절점 공유 SimLab에서는 위와 같은 모델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음 순서로 작업을 진행합니다. CAD Import 2D Mesh 생성 공유면 작성 하나의 Body로 Merge Volume Mesh 생성 원래 Body로 [...]

2023-04-21T14:39:15+09:002018년 09월 27일|모델링&시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