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테어 소식

1. HyperCrash 맛보기!

안녕하세요. HyperCrash 가즈아~! 시리즈 첫번째 연재 "HyperCrash 맛보기!"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본격적으로 HyperCrash의 다양한 기능들을 알아보기 전에! 간단한 예제를 통한 워밍업을 하려고 합니다. 모두 준비되셨나요~?? :lol: ------------------------------------------------------------------------------------------------------------------------------------------ 진행할 예제는 위 그림과 같은 단순화된 차량의 충돌 해석입니다. 모델 정보 초기속도 15600mm/s 인 단순 차량 모델이 250mm 직경의 원기둥에 충돌 단위 : 길이(mm), 시간(s), 질량(ton), 하중(N), 응력(Mpa) 해석 설정 : Engine file [...]

2023-04-23T22:14:50+09:002018년 02월 02일|HyperCrash 해보자|

1.애니메이션 파일, 하이퍼그래프도 읽을수 있다!

애니메이션 파일로 그래프 그리기 움직이는 동영상 같은 해석 결과를 만들때는 HyperView,  그래프를 원할 때는 HyperGraph! 아마 이런 식으로 HyperWorks 제품군을 활용하시는 분들이 많으시리라 생각합니다.  정말 그럴까요?  이 블로그를 애독하시는 많은 독자분들은 꼭 그런것은 아니라는 것도 아실텐데요.  이미 다른 연재에서도 이 문제는 한 번 다룬 적이 있습니다. [그림1] 해석 결과를 2D curve 로 그리고 싶어요 : HyperView – HyperGraph 연동 [...]

2023-04-25T15:34:34+09:002018년 01월 30일|이건 몰랐지 HyperGraph|

[전자신문] 제품을 가상으로 똑같이 만드는 기술, ‘디지털트윈’

아래 내용은 2017년 11월 15일 전자신문에 실린 알테어 관련 기사 내용입니다. 제품을 가상으로 똑같이 만드는 기술, '디지털트윈'   #독일 엘리베이터 제조기업 티센크루프는 로프없는 엘리베이터를 개발 중이다. 기존 로프 구동 엘리베이터는 최고 400미터가 한계이기 때문이다. 그 이상 높이로 지을 경우 전기모터로 구동되는 엘리베이터로 가능한데 문제는 엘리베이터 무게였다. 티센크루프는 컴퓨터로 다양한 로프없는 엘리베이터 디자인을 실험하고 하중 테스트를 수천 번 거듭했다. 다양한 건물 구조와 [...]

2023-04-24T16:15:43+09:002017년 11월 29일|뉴스룸|

Flux로 풀어보는 전자기학 4편 – Inductance

Keyword: Inductance, Inductor 목적: 이번 예제는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류가 흐르고 있을 때 코일이 가지는 인덕턴스를 구하고, 기본이론과 비교합니다. 모델은 아래의 그림과 같이 반지름 1mm의 원형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길이는 50mm, 감은 수는 10회, 도체 매질은 구리(Cu), 인가되는 전류는 1A(rms) 입니다. Flux 모델구성: 솔레노이드 코일 생성 Tools >> Sketch >> New : YZ_Plane Construction >> Circle >> Circle center + radius [...]

2023-04-23T22:11:48+09:002017년 08월 29일|Flux & FluxMotor|

Flux로 풀어보는 전자기학 3편 – Magnetic field density

Keyword: Magnetic field, Magnetic field density 목적: 이번 예제는 원형 단면을 갖는 무한히 긴 비자성 도체에 정상상태의 전류가 흐르고 있을 때 도체내부와 외부의 자속밀도를 구하고, 기본이론과 비교합니다. 모델은 아래의 그림과 같이 반지름 5mm의 원형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도체 매질은 구리(Cu), 인가되는 전류는 1A 입니다.Flux 모델구성: 워셔생성 Construction >> Circle >> Circle center+radius Infinite Box생성 Geometry >> Infinite box >> New [...]

2023-04-23T22:12:26+09:002017년 06월 26일|Flux & FluxMotor|

제 3편 – 기본 안테나 해석3 : Different ways to feed a horn antenna

목적: 이번 예제는 1.654 GHz에서 작동하는 피라미드 horn 안테나의 설계와 해석을 진행할 것 입니다. 아래의 그림 1.과 같이 horn 안테나의 far field를 구할 것이며, 각각의 다른 feeding방식을 적용하여 비교 진행할 것 입니다. feeding 방식으로는 wire pin feed, waveguide feed, FEM modal port feed를 사용할 것 입니다. 그림 1. Wire pin feed 첫 번째 모델은 wire pin feed방식으로 wave guide내부에 pin을 [...]

2023-04-23T18:28:11+09:002017년 06월 02일|Feko: 쉽게 써보자|

제 2편 – 기본 안테나 해석2 : Patch Antenna

목적: 이번 예제는 pin feed 급전방식에 따른 패치안테나를 설계 및 해석할 것 입니다. 또한 Dielectric substrate은 Planar multilayer substrate(무한평면)을 사용하여 finite ground(유한평면)모델과의 시간과 메모리 사용량을 비교 진행할 것 입니다. 아래의 그림1.과 같은 모델이며 주파수는 2.7 - 3.3GHz에서 작동되는 패치 안테나 입니다. (초록색: planar multilayer substrate – infinite ground, 주황색: patch) 그림1. 모델정보: 패치길이(X방향): 31.1807 패치길이(Y방향): 46.7480 패치물성: PEC Substrate: 2.2 [...]

2023-04-23T18:28:51+09:002017년 05월 04일|Feko: 쉽게 써보자|

Flux로 풀어보는 전자기학 2편 – Resistance

Keyword: Resistance, Conductivity, Conductor 목적: 이번 예제는 σ의 전도도를 가지는 도체 매질에 대한 저항(Resistance)을 구하고, 기본이론과 비교합니다. 모델은 아래의 그림과 같이 평평한 원형 워셔의 1/4 모양을 하고 있으며, 도체 매질은 철(Fe) 입니다. 인가되는 전압은 상단 1V, 하단 0V이고 평판의 면적은 1, 안쪽 반지름은 1m, 바깥쪽 반지름은 2m 입니다. Flux 모델구성: 워셔생성 Tools >> Sketch >> New Construction >> Rectangle >> Rectangle [...]

2023-04-23T22:13:04+09:002017년 05월 02일|Flux & FluxMotor|

Flux로 풀어보는 전자기학 1편 – Capacitor

Keyword: Capacitor, Capacitance, Electric field, Electric flux density 목적: 이번 예제는 간단한 Capacitor 구조에 대한 E (Electric field)와 D (Electric flux density) 그리고 C (Capacitance) 값을 Flux로 계산하고, 기본이론과 비교합니다. 모델은 아래의 그림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있으며 Flux에서는 3D 모델로 구성합니다. Capacitor는 공기로 채워져 있고, 인가되는 전압은 상단 1V, 하단 0V이고 평판의 면적은 1, 거리는 0.3m 입니다. Flux 모델구성: 박스생성 Construction [...]

2023-04-23T22:13:47+09:002017년 02월 28일|Flux & FluxMotor|

제 1편 – 기본 안테나 해석1 : Dipole Antenna

목적: 이번 예제는 간단한 반 파장 다이폴 모델에 대한 radiation pattern과 input impedance를 계산하게 됩니다. 아래의 그림과 같은 모델이며 파장의 길이는 4m( 75MHz)로 안테나의 길이는 2m, wire의 반지름은 2mm입니다. 모델정보: 주파수: 75MHz 반 파장 다이폴 안테나 길이: 2m 반 파장 다이폴 안테나 반지름: 2mm 물성: PEC (Perfect Electric Conductor) 단위: m (meter) 입력변수: freq = 75e6 (Operating frequency) Lambda = c0/freq [...]

2023-04-23T18:29:29+09:002017년 02월 14일|Feko: 쉽게 써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