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테어 소식

HyperMesh 제 13편 – 3D Tetramesh 수정해보기: Tetra Mesh Optimization

이미 생성되어 있는 Tetramesh 를 수정하려고 할 때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지만 2차례에 걸쳐서 2가지 방법만 살펴보고자 합니다. 1) Tetra Mesh Optimization 기능 요소의 퀄리티가 낮은 부분에 대해 해당 영역을 선택하고, 특정 퀄리티 항목에 맞춰 수정하고자 할 때 사용해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상단 Mesh >> Check >> Elements>> Tetra Mesh Optimization 으로 접근이 [...]

2023-04-24T10:00:30+09:002016년 11월 02일|HyperMesh, 어디까지 써봤니?|

제 11편 – 실전예제2 신뢰성 최적화 – Study set up하기

제 11편 – 실전예제2 신뢰성 최적화 – Study set up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편에서는 10편에서 생성한 변수를 가지고 설계변수로 등록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이미 몇 차례 진행했던 내용으로 매우 간단하고 쉽습니다. 1. 모델 추가하여 Study시작하기 Add Model클릭 >> 2. 모델 생성하기 이름(Label) 입력 후 >> Parameterized File 선택 후 OK 3. 모델 정의 Resource >> 10편에서 만든 boxbeam1.tpl 파일 선택 하여 불러오기 [...]

2023-04-24T10:19:04+09:002016년 10월 31일|HyperStudy 필살기|

RADIOSS 공략 20편 – Cube

본 예제는 경사진 빔에 아이스 큐브를 떨어트려 큐브의 동적 자유 변형을 explict 시간 적분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준비된 예제입니다. 충격 및 리바운드는 다양한 RADIOSS의 접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모델링 됩니다. 그리고 아이스 큐브가 회전하는 모션이 있기 때문에 공동 회전 솔리드 계산 방식이 필요합니다. 본 예제의 목적은 아이스 큐브와 스틸 빔 사이에 적용되는 Type7과 Type16의 슬라이딩 컨택을 비교하면서 알아보는 것입니다. 물리적 문제 [...]

2023-04-24T11:27:15+09:002016년 10월 28일|Radioss Example 공략하기|

야금야금 CAE: 꿀바른 HyperWorks (제 26편 Linear Static Analysis Using OptiStruct -2-)

한국알테어의 YUNA 입니다! 유한요소해석에 관심있는 모든 분들을 위해 간단한 이론과 HyperMesh를 이용해서 FEA Process를 차근차근 배워보는 “야금야금 CAE: 꿀바른 HyperWorks”를 연재합니다. 1년에 걸쳐 연재할 예정이니 앞으로 야금야금 함께 배워요! 제 26편 Linear Static Analysis Using OptiStruct -2- 안녕하세요. 한국알테어 김정우 선임연구원입니다.  지난 연재를 통해 Input 파일에 대한 이해에 감이 좀 잡히셨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Linear Static 해석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구조해석에서 [...]

2023-04-25T15:09:58+09:002016년 10월 19일|야금야금 CAE: 꿀바른 HyperWorks|

HyperMesh 제 12편 – 3D Mesh 생성하기: Tetramesh

HyperMesh 의 tetramesh 패널을 통해 Mesh 작업에 대해 짧게 살펴보고자 합니다. Tetramesh 패널은 하단 3D 메뉴에 위치하고 있으며, 크게 2가지 방식으로 tetramesh 생성이 가능합니다. 1) 부피를 갖는 Geometry를 이용하는 방법 2) 생성되어 있는 2D Mesh를 이용하는 방법 1) 부피를 갖는 Geometry 이용하기 Geometry 클릭 > 요소 크기 입력 > mesh 버튼 클릭 > 끝 위의 그림과 같이 Geometry 를 한 [...]

2023-04-24T10:00:38+09:002016년 10월 18일|HyperMesh, 어디까지 써봤니?|

야금야금 CAE: 꿀바른 HyperWorks (제 25편 Linear Static Analysis Using OptiStruct -1-)

한국알테어의 YUNA 입니다! 유한요소해석에 관심있는 모든 분들을 위해 간단한 이론과 HyperMesh를 이용해서 FEA Process를 차근차근 배워보는 “야금야금 CAE: 꿀바른 HyperWorks”를 연재합니다. 1년에 걸쳐 연재할 예정이니 앞으로 야금야금 함께 배워요! 제 25편 Linear Static Analysis Using OptiStruct -1- 안녕하세요. 한국알테어 김정우 선임연구원입니다.  YUNA 연구원을 대신해 3회에 걸쳐 OptiSturct 기반의 선형해석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합니다. HyperWorks에서의 선형해석은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는 OptiStruct 라고하는 [...]

2023-04-25T15:10:40+09:002016년 10월 17일|야금야금 CAE: 꿀바른 HyperWorks|

제 10편 – 실전예제2 신뢰성 최적화 – 변수 생성하기

안녕하세요! 실전예제2 신뢰성 최적화! 진행합니다. 혹시나 기다려 주신 분들이 있다면 대단히 죄송하고 감사합니다. 실전예제2 신뢰성 최적화에서도 Altair Radioss 솔버를 활용한 충돌 시뮬레이션을 최적화 합니다. 먼저 변수 생성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1. HyperStudy Editor실행! HyperStudy실행 >> Tools >> Editor 혹은 단축키 F8 클릭 2. 인풋덱을 불러와서 설계변수 설정하자! 우측 폴더 모양 아이콘 클릭 >> boxbeam1_0000.rad 열기 >> /PROP/SHELL/1 찾기 3. Ctrl 누른상태에서 [...]

2023-04-24T10:19:44+09:002016년 10월 17일|HyperStudy 필살기|

RADIOSS 공략 19편 – Wave Propagation

본 예제는 Elastic shock wave propagation에 대해 알아보며 2가지 접근 방식을 다룹니다. Lagrangian formulation ALE (Arbitrary Lagrangian Eulerian) formulation 시뮬레이션 결과는 분석적인 해법으로 비교되며 bi-dimensional 문제로 간주됩니다. 수직 충격 하중을 받는 도메인은 탄성재료와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일반화된 충격파는 수직과 전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결과는 0.77ms로 나타나는데 수직파가 도메인의 낮은 경계에 도달하는것이 예측됩니다. 파동의 확장에 대한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무한한 도메인이 모델링되었고 non-reflective frontiers [...]

2023-04-24T11:27:55+09:002016년 10월 13일|Radioss Example 공략하기|

RADIOSS 공략 18편 – Square plate

본 예제는 외팔 플레이트의 양쪽 끝단에 서로 반대되는 하중을 부여하여 플레이트를 비틀어보는 예제입니다. 지난 공략 17 - Box beam 예제와 동일하게 본 예제에서도 Mesh의 크기와 Shell Formulation을 바꿔가며 결과를 비교합니다.   물리적 문제 정의 단위 : mm, ms, g, N, MPa 물성은 선형탄성거동을 보이는 물성을 사용했으며 자세한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Initial density : 7.8x10^3 g/mm^3 Young modulus : 210000 MPa Poisson [...]

2023-04-24T11:28:36+09:002016년 10월 11일|Radioss Example 공략하기|

야금야금 CAE: 꿀바른 HyperWorks (제 24편 Boundary Condition in HM)

한국알테어의 YUNA 입니다! 유한요소해석에 관심있는 모든 분들을 위해 간단한 이론과 HyperMesh를 이용해서 FEA Process를 차근차근 배워보는 “야금야금 CAE: 꿀바른 HyperWorks”를 연재합니다. 1년에 걸쳐 연재할 예정이니 앞으로 야금야금 함께 배워요! 제 24편 Boundary Condition  in HM 지난시간에 이어, 아래의 경계조건들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SPC(Single Point Constraints), Concentrated Load, Pressure, Distributed Load, Bending Moment, Torque, Connection (RBE2, RBE3), Temperature Loading] 경계조건은 어떻게 [...]

2023-04-25T15:11:34+09:002016년 10월 04일|야금야금 CAE: 꿀바른 Hyper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