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정보

기업에서 해석 모델과 연계된 MBSE를 원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다름을 디자인하다, 알테어입니다. MBSE(Model Based Systems Engineering)은 현재 시스템 엔지니어링 커뮤니티에서 널리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MBSE 시스템 모델(예: SysML)은 라이프사이클 전체에 걸쳐 시스템 또는 제품의 상태(요구 사항, 구조, 동작 및 핵심 매개변수 값)를 추적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Word, PowerPoint 또는 Excel 파일을 사용하는 시스템 엔지니어링의 기존 "문서 기반” 방법과 비교하면, 시스템 엔지니어의 역량이 오랫동안 상승해온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한 시스템 [...]

2023-04-24T17:26:24+09:002018년 10월 05일|APA|

2+2=3.5 또는 4 또는 6.8? – 금속 부품의 강도 평가 표준화

  2+2 = 3.5 또는 4 또는 6.8 ? 위의 제목이 과장이라 생각될 수도 있지만, 이는 금속 부품의 강도 평가할 때 볼 수 있는 실제 상황입니다. 사람들은 금속 부품들이 수세기에 걸쳐 만들어졌기 때문에 부품의 기계적 강도를 평가하는 일은 별로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여러 명의 엔지니어에게 똑같이 시뮬레이션 된 FEA 결과를 제공하면 정적 강도를 간단히 [...]

2023-04-24T17:27:40+09:002018년 10월 01일|APA|

[SimLab] 볼륨메쉬를 생성하려 하는데 Body 내부에 또 다른 Body가 있다면??

아래 그림과 같이 1) Box Body 안에 2) 43개의 Body가 있습니다. 해당 모델은 아래와 같이 모델링을 완성하려고 합니다. Box Body와 내부에 43개 Body에 Tetra 볼륨메쉬 생성 Box Body 내부에 볼륨메쉬 생성 시 43개 Body와는 절점 공유 SimLab에서는 위와 같은 모델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음 순서로 작업을 진행합니다. CAD Import 2D Mesh 생성 공유면 작성 하나의 Body로 Merge Volume Mesh 생성 원래 Body로 [...]

2023-04-21T14:39:15+09:002018년 09월 27일|모델링&시각화|

[HyperMesh] 효율적인 스크래치 파일 관리를 위한 작업 폴더 설정 방법

HyperMesh를 사용 중에는 작업과 관련한 많은 스크래치 파일들이 생성 됩니다. 이러한 파일들은 모델링 정보를 참고 할 수 있어 유용하지만, 파일 사이즈가 커지게 될 경우 HyperMesh 오작동에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스크래치 파일들은 ‘내 문서’에 저장되지만, 특정 폴더에 지정해 주기적인 파일 관리를 권장합니다. 작업 폴더 지정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HyperMesh 실행 아이콘 >> 마우스 우측 클릭 속성 클릭 시작위치에서 특정 [...]

2023-04-21T09:45:06+09:002018년 09월 21일|모델링&시각화|

CFD결과를 효과적으로 보여주는 고품질 영상 손쉽게 제작하기

안녕하세요. 다름을 디자인하다, 알테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알테어와 Partner Alliance를 맺고 있는 Intelligent Light의 FieldView Express을 활용하여 고품질의 CFD 영상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FieldView Express는 엔지니어가 design cycle에서 정확한 결과를 제공해야 할 때 선택하는 CFD 후처리기입니다. 엔지니어는 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고품질의 영상을 쉽게 제작할 수 있습니다. 고품질의 프레젠테이션을 만드는 3가지 방법을 소개합니다! 1. MP4 FieldView Express는 변환기 사용 없이 높은 [...]

2023-04-24T17:28:58+09:002018년 09월 05일|APA|

매칭 회로 설계가 더 쉬워졌습니다!

다양한 예를 통해 알아보는 임피던스 매칭 회로 설계 안녕하세요. 다름을 디자인하다, 알테어입니다. 무선 시스템 설계 시 필수적인 작업은 RF 체인의 여러 구성 요소간에 적절한 임피던스가 매칭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임피던스가 일치하지 않으면 앰프와 안테나 사이의 에너지 전달을 저하시켜 무선 장치의 효율성, 통신 범위 및 배터리 수명을 줄입니다.
 임피던스 매칭은 단순해 보일 수 있습니다. 모든 RF 엔지니어는 두 개의 구성요소(인덕터 또는 커패시터)만 [...]

2023-04-24T17:28:19+09:002018년 09월 05일|APA|

MEM을 사용한 박판 단면구조 충돌 해석

안녕하세요. 다름을 디자인하다, 알테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알테어와 Partner Alliance를 맺고 있는 Crash Cad Calcualte(CCC)의 Macro Element Method (MEM)을 활용한 박판 단면구조 충돌해석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1. 왜 cross sectional analysis가 유용한가요? 안전 요구사항, E-모빌리티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구조 재설계, 혁신적인 새로운 차량 설계 등은 지속적으로 발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충돌 설계 과제는 Macro Element Method (MEM)에 의해 수행되는 단순화된 cross sectional 해석을 [...]

2023-04-24T17:29:54+09:002018년 08월 08일|APA|

[SimLab] 타이핑으로 메뉴 이동 방법 – Search

SimLab을 사용하다보면 메뉴가 어디있는지 몰라서 어려움을 겪으신적이 있으신가요? SimLab 2017.2.2 이상 버전을 사용하시는 유저분들이라면 Search Tool을 통해 쉽게 기능으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사용 방법은 1) SimLab 창 우측 상단에 돋보기 버튼 클릭 또는 2) Ctrl+F(단축키)로 할 수 있습니다.   1) 메뉴의 일부 이름을 타이핑을 하면 자동완성으로 관련 메뉴들이 리스트됩니다.  2) 원하는 메뉴를 선택한 뒤에 ENTER를 누르면 해당 메뉴로 이동이 됩니다.  

2023-04-21T14:37:22+09:002018년 08월 06일|모델링&시각화|

[SimLab] HyperMesh 파일(*.hm)을 SimLab으로 가져오는 방법

SimLab에서도 HyperMesh 전용 파일(*.hm)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단, 아래와 같은 조건으로만 hm 파일을 가져 올 수 있습니다. SimLab 2017.2.1 이상 버전  CAD 정보는 Import 불가 (hm파일 안에 CAD 정보가 있더라도) ※ SimLab에서 지원하지 않는 키워드에 대해서는 Import 되지 않을 수 있으니 이후에 별도 확인이 필요합니다. 

2023-04-21T14:35:57+09:002018년 08월 06일|모델링&시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