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패널의 Help 파일로 한번에 이동하는 방법
특정 패널 레이아웃에 마우스 포인터를 놓은 상태에서 'H' 버튼을 누르면 해당 패널의 Help파일로 이동한다. 사용 방법 1. 특정 패널 클릭 (ex.surfaces 패널) 2. Surfaces 패널 레이아웃 위에 마우스 포인터 이동 후, 'H' 버튼 클릭 3. Surfaces 패널에 대한 Help 파일로 바로 이동
특정 패널 레이아웃에 마우스 포인터를 놓은 상태에서 'H' 버튼을 누르면 해당 패널의 Help파일로 이동한다. 사용 방법 1. 특정 패널 클릭 (ex.surfaces 패널) 2. Surfaces 패널 레이아웃 위에 마우스 포인터 이동 후, 'H' 버튼 클릭 3. Surfaces 패널에 대한 Help 파일로 바로 이동
Mesh Size는 Node Tolerance 값 이상 부터 지정 가능하다. Pull down menu>Meshing Options에서 'node tol= '의 값을 Mesh Size보다 작게 설정한다.
Menu Page>Tool>translate 를 이용하면 기본적으로 global system으로 요소가 이동된다. <그림1> 해당 패널에 toggle 키를 클릭하면 local system으로 변경이 된다. <그림2> local system을 선택하고, 요소를 이동하면 local system 기준으로 요소가 이동한다.
Check Elements (Menu Page>Tool>check elems → 단축키 : F10) 사용 방법 원하는 Element Quality 항목에 값을 입력한 뒤, 녹색 버튼 클릭 값에 만족하지 못한 Element는 하이라이트
아래 방법을 이용하여 Component에 Property와 Material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다. 1. Component View → 확인만 가능하고 수정 불가 2. Component Browser → 확인, 수정 가능 (Browser 내에 Editable을 이용하면 수정 가능)
인풋 파일 생성 시, 모델에 대해 사용자가 원하는 요소만 Export 할 수 있도록 선택하는 기능 Export 방법은 동일하며, Export Option만 Custom으로 지정하고 Export 하면 된다. Pull Down Menu>View>Entity State Browser *.hm 파일로 저장하게 되면 Do Not Export로 지정한 요소들도 함께 저장 된다.
Graphic Area 상에 모델이 있을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요소(Element, Geometry, Load 등…)만 Display 할 수 있는 기능 Pull Down Menu>View>Mask By Config Browser 기능 설명 - Show(+) : 해당 요소를 Display On - Hide (-) : 해당 요소를 Display Off - Isolate (1) : 해당 요소만 Display On, 그 외에 요소들은 Display Off
최신 그래픽 드라이버를 설치 하지 않으면 Graphic Area 상에 모델이 깨져 보일 수 있다. <그림1> old 그래픽 드라이버의 경우, HyperMesh 사용 시 여러가지 문제점을 나타낸다. (모델의 회전이 느린 현상, Element가 누락 되는 현상, HyperMesh가 자주 죽는 현상 등) 최신 그래픽 드라이버는 HyperMesh, HyperView의 속도와 성능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다. 최신 날짜의 드라이버를 유지해야 하며, 그래픽 카드 회사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해야 한다. [...]
HyperMesh는 모델 파일과는 별도로 특정 폴더에 Temp 파일을 생성한다. 이 파일들이 계속 쌓이다 보면 HyperMesh가 일정 시점 부터 느려질 수 있다. 아래 경로로 이동하여 HM숫자 (확장명 없음) 로 되어 있는 파일을 지우면 된다. 경로 : C:Documents and Settings<사용자 이름>Local SettingsTemp Local Settings 폴더는 숨김 폴더로 지정되어 있으므로 '도구>폴더 옵션>보기>숨김 파일 및 폴더 표시' 지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