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테어 소식

HyperMesh 쉬어가기 – Entity selector 옵션에 대해 알아보기

HyperMesh를 사용하시다 보면 대부분의 패널에 아래와 같은 부분을 볼 수 있습니다. 이미 작업하셔서 알고 계시는 것처럼 작성하고자 하는 대상을 선택하는 부분으로, Entity editor 라고 합니다. 화면에서 직접 클릭하거나 드래그하여 선택할 수도 있지만, Entity editor 를 선택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위의 이미지에서처럼 여러 개의 버튼이 나타나게 됩니다. 물론 어떤 Entity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활성화되는 버튼은 달라지게 됩니다. (위의 이미지에서는 element를 선택할 때 활성화 [...]

2023-04-24T10:01:42+09:002016년 05월 04일|HyperMesh, 어디까지 써봤니?|

RADIOSS Example 공략 10편 – Bending

목적 이번 예제는 외팔보의 굽힘에 대해서 알아보는 예제입니다. 고체역학을 학습한 사람들에겐 아주 일반적이고 유명한 문제를 RADIOSS를 활용하여 시뮬레이션 해봅니다.  이번 예제를 진행하면서 중점적으로 확인해봐야 할 것은  Element Formulation으로 지난 예제들에서 언급한 내용에 Scale Factor를 대입한 내용을 보충하여 다루고 있습니다.  각 Formulation 별 결과 차이와  Scale Factor 값의 차이에 따른 결과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모델 정보(Geometry) - Length : 500 - Height : 20 [...]

2023-04-24T11:36:02+09:002016년 05월 04일|Radioss Example 공략하기|

RADIOSS Example 공략 9편 – Billiard (Pool)

목적 이번 예제의 목적은 다수의 공들간 발생하는 운동량 전이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여러 인터페이스 간 발생하는 컨택에는 Penalty와 Lagrange Multiplier's method가 적용되었습니다. 간단히 요약하자면 많이들 즐기고 있는 포켓볼을 RADIOSS로 시뮬레이션하는 예제입니다. 모델 정보(Geometry) 본 모델은 포켓볼을 시뮬레이션한 것으로 각 50.8mm의 지름의 공이 16개(흰공 1개 나머지 15개)가 있습니다. 당구대의 사이즈는 1800mm x 900mm이며, 초기 당구공(cue ball)의 속도를 1.5m/s로 설정하여 진행했습니다. 물성 정보 [...]

2023-04-24T11:36:45+09:002016년 05월 03일|Radioss Example 공략하기|

제 7편 – 실전예제1 Material Calibration – Study set up하기

5편 설계변수 생성 완료! 6편 반응값을 위한 함수 등록 완료! 이제 7편 Study set up 준비가 다 되었습니다. 1. 새로운 Study 만들기! 새 술은 새 푸대에! File >> New로 새로운 Study를 만듭니다. 이름(Label)은 Material Calibration 위치는 현재 작업 폴더를 지정! (tpl파일 위치경로) 2. 모델 정의! Define Models 에서 Add Model 클릭하여 아래 Parameterized File Type선택! 3. Resource 파일 및 input [...]

2023-04-24T10:23:57+09:002016년 05월 02일|HyperStudy 필살기|

야금야금 CAE: 꿀바른 HyperWorks (제 16편 2D Element -1- )

한국알테어의 YUNA 입니다! 유한요소해석에 관심있는 모든 분들을 위해 간단한 이론과 HyperMesh를 이용해서 FEA Process를 차근차근 배워보는 “야금야금 CAE: 꿀바른 HyperWorks”를 연재합니다. 1년에 걸쳐 연재할 예정이니 앞으로 한 주에 하나씩 함께 배워요! 제 16편 2D Element -1- 1. Mesh 조건 Geometry 클린업이 완료되면 다음 과정으로 Mesh를 생성합니다. 몇가지 팁이라면, - Mesh는 육안 상으로 일정한 Mesh 패턴으로 이뤄져야 합니다. - 해석 타입에 [...]

2023-04-25T15:17:59+09:002016년 04월 26일|야금야금 CAE: 꿀바른 HyperWorks|

HyperMesh 제 8편 – Automesh 패널을 이용하여 2D Mesh 생성하기

Surface를 이용한 2D Mesh를 생성은 Automesh 패널에서 작업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게 되면 Surface와 연결되어 있는 2D elements가 생성되며, Surface를 수정하면 Mesh도 함께 적용되어 수정됩니다. 해당 기능은 하단 2D 에서 확인해보실 수 있으며, 단축키는 F12 입니다. Entity editor 가 surfs 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총 5가지의 서브 패널이 활성화 됩니다. 상황에 따라 5가지 서브 패널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

2023-04-24T10:01:54+09:002016년 04월 20일|HyperMesh, 어디까지 써봤니?|

야금야금 CAE: 꿀바른 HyperWorks (제 15편 Connector -2- )

한국알테어의 YUNA 입니다! 유한요소해석에 관심있는 모든 분들을 위해 간단한 이론과 HyperMesh를 이용해서 FEA Process를 차근차근 배워보는 “야금야금 CAE: 꿀바른 HyperWorks”를 연재합니다. 1년에 걸쳐 연재할 예정이니 앞으로 한 주에 하나씩 함께 배워요! 제 15편 Connector -2- 1. HyperMesh에서 지원하는 타입 아래와 같이 5가지의 Connector 타입을 지원합니다. 1.1 spot: Weld, Rivet과 같은 Point 용접을 다량으로 생성 시, 유용하게 활용 할 수 있습니다. [...]

2023-04-25T15:18:39+09:002016년 04월 08일|야금야금 CAE: 꿀바른 HyperWorks|

HyperMesh 쉬어가기 – 모델 View 및 Display control 해보기

HyperMesh 에서 모델링 작업을 하다 보면, 내가 가지고 있는 모델의 일부 영역에 대해서만 작업하는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모델 전체가 보이는 Fit View 상태에서 부분 작업을 하기에는 세밀한 작업이 어렵겠죠? (참고로 Fit View 단축키는 "F" 입니다.) 오늘은 모델링 작업을 할 때에 모델 View 및 Display와 관련하여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우선 View 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모델을 각 기준좌표계의 평면으로 확인이 가능하고요, 2) [...]

2023-04-24T10:02:03+09:002016년 04월 06일|HyperMesh, 어디까지 써봤니?|

HyperView 제 7편 – 움직이는 Node의 변위/속도/가속도를 확인해 볼까요?

안녕하세요~ 방향과 크기로써 정의되는 개념은 무엇일까요? 만약 그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면요? 이번에는 Vector 패널 간단 사용법을 말씀드릴게요! 1 . Vector 패널 접근하기 화살표 모양의 버튼이 보이시나요? 클릭해 주세요!   2. Vector 패널 간단 사용 방법 하나: 결과의 종류를 선택해 주세요. 변위, 속도, 가속도 등의 선택지가 있습니다. 둘: Nodes, Elements, Components, Assemblies 옵션이 있습니다. 셋: 적용 버튼 클릭!   3. 다른 [...]

2023-04-24T10:38:03+09:002016년 04월 05일|HyperView 이것만 알아도 된다|

제 6편 – 실전예제1 Material Calibration – Templex Function 등록 하기

Material Calibration을 하기 위해 두 커브의 면적 차이를 계산하는 함수를 등록할 것입니다. 두 커브의 면적 차이를 ‘0’으로 만들면 두 커브는 같다고 할 수 있겠죠? : ) 두 커브의 면적 차이를 계산하는 함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Id("HyperStudy v13.0") *BeginDefaults() *BeginTemplexFunctions() {templex_off} *BeginTemplexFunction() *BeginText() function area_between_two_curves(v1x,v2x,v1y,v2y) { newx = sync2(v1x, v2x) newy1 = lininterp(v1x, v1y, newx) newy2 = lininterp(v2x, v2y, newx) suby = [...]

2023-04-24T10:24:37+09:002016년 04월 04일|HyperStudy 필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