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테어 소식

야금야금 CAE: 꿀바른 HyperWorks (제 13편 1D – CBAR & CBEAM)

한국알테어의 YUNA 입니다! 유한요소해석에 관심있는 모든 분들을 위해 간단한 이론과 HyperMesh를 이용해서 FEA Process를 차근차근 배워보는 “야금야금 CAE: 꿀바른 HyperWorks”를 연재합니다. 1년에 걸쳐 연재할 예정이니 앞으로 한 주에 하나씩 함께 배워요! 제 13편 1D Element - CBAR & CBEAM 이번 편에서는 CBAR, CBEAM 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CBAR는 뭐고 CBEAM은 뭐죠?? CBeam과 CBar 는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보 라고 [...]

2023-04-25T15:20:06+09:002016년 03월 18일|야금야금 CAE: 꿀바른 HyperWorks|

제 6편 – Element가 압축/인장 상태인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항공기 부품인 Torsion Link 사진을 찍어 보았는데요, 여기서 퀴즈~혹시 어떤 곳이 늘어나는 부분인지 구분이 되시나요? 압축되는 부위는요? 너무 쉽다구요?!   그렇다면 난이도를 올려서, 항공기 날개의 Skin 응력 분포를 보여드리죠!   이번에는 쉽지 않은데요, HyperView의 Tensor 패널을 이용하여 각 요소가 어떤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   Tensor 패널 접근하기 Tensor 패널은 육면체 모양으로 생겼어요!   Tensor 패널 간단 사용 [...]

2023-04-24T10:38:55+09:002016년 03월 17일|HyperView 이것만 알아도 된다|

제 4편 – HyperStudy 반응값 설정이 이렇게 쉬울 수가!

지난 편에서는 설계변수를 알아봤는데요, 최적화를 할 때 설계변수와 더불어 중요한 것이 반응값입니다. 반응값이란! 설계변수가 변할 때 유저가 고려할 결과값입니다. 대표적으로 응력, 변위, 질량 등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드막대기를 설계변수로 두고 막대기의 응력을 고려하면서 생산비용(질량)을 최소화 하는 최적화를 진행한다면, 응력과 질량을 반응값으로 설정해야 하겠죠? 그래야 설정한 반응값을 가지고 최적화에서 목적함수, 제약함수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HyperStudy에서는 이런 반응값을 Expression Builder를 [...]

2023-04-24T10:27:01+09:002016년 03월 17일|HyperStudy 필살기|

HyperMesh 제 6편 – Geometry 수정하기: Surface (2)

Surface와 Surface 사이가 떨어져 있는 경우에 대해 어떻게 수정할 수 있을까요? Geometry를 Import 하거나 수정했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죠. 이번 글에서는 위의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패널의 기능을 살펴보겠습니다. 1. Edge edit 패널 Edge edit 패널은 Surface의 Edge topology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Topology를 바꿔서 Surface끼리 연결시키거나, Element Quality를 좋게 만들어 주기 위해 Suppressed 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습니다. 모델 [...]

2023-04-24T10:02:32+09:002016년 03월 16일|HyperMesh, 어디까지 써봤니?|

야금야금 CAE: 꿀바른 HyperWorks (제 12편 1D Element – CROD )

한국알테어의 YUNA 입니다! 유한요소해석에 관심있는 모든 분들을 위해 간단한 이론과 HyperMesh를 이용해서 FEA Process를 차근차근 배워보는 “야금야금 CAE: 꿀바른 HyperWorks”를 연재합니다. 1년에 걸쳐 연재할 예정이니 앞으로 한 주에 하나씩 함께 배워요! 제 12편 1D Element - CROD 1D Element로 Modeling을 할 때 여러분들이 꼭 선택해야 될 친구들이 있습니다! 바로 CROD, CBAR, CBEAM 입니다. 1) CROD가 뭐죠?? 위의 그림은 ROD Element를 [...]

2023-04-25T15:20:47+09:002016년 03월 13일|야금야금 CAE: 꿀바른 HyperWorks|

RADIOSS Example 공략 7편 – Pendulums

목적 이번 예제의 목적은 여러개의 Pendulum을 통해서 전달되는 충격 웨이브와 운동량을 시뮬레이션으로 확인 하기 위한 것입니다. 충격시 발생하는 동역학적 거동은 3D 요소로 모델링하여 표현하였고, 평면 변형률의 가정은 디테일한 2D 요소로 모델링하여 충격파의 전파와 역학적 접촉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모델에는 중력이 적용되었고 처음 Pendulum이 충격하였을때 6번째 Pendulum까지는 거동의 변화가 없고 마지막 Pendulum에 처음의 거동이 그대로 전달됩니다.     주요 물성 [...]

2023-04-24T11:38:05+09:002016년 03월 11일|Radioss Example 공략하기|

제 3편 – HyperStudy 설계 변수를 만들어줘~

제 3편 - HyperStudy 설계 변수를 만들어줘~ 더위를 식혀주는 하드! 다들 많이 드셔 보셨죠? 하드에는 막대가 있어 하드를 고정시키면서 손잡이 역할을 합니다. 이런 하드 막대기의 생산 단가를 최소화하는 최적화를 한다면?? 어떤 부분을 변경해야 생산 비용을 줄일까 하고 생각을 먼저 할 수 있습니다. 최적화 문제로 보면은 설계변수의 정의 입니다! 따라서 최적화 문제를 접근할 때 설계변수를 가장 먼저 고려해야 되는데요. 설계변수를 고려하셨다면! [...]

2023-04-24T10:27:40+09:002016년 03월 10일|HyperStudy 필살기|

HyperMesh 제 5편 – Geometry 수정하기: Surface (1)

Geometry 에 대한 Topology를 확인한 후에는 원하는 Mesh를 생성하기 위해 수정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수정 방법에 대해 사용 가능한 패널들을 하나씩 알아보고자 합니다. Surface 수정은 surface edit 패널에서 할 수 있습니다. 해당 패널에 들어가면 여러가지 기능이 있는데,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Trim 기능 3가지 종류의 Entity (Node / Line / Plane)를 이용하여 내가 선택한 surface를 잘라주실 수 [...]

2023-04-24T10:02:40+09:002016년 03월 07일|HyperMesh, 어디까지 써봤니?|

야금야금 CAE: 꿀바른 HyperWorks (제 11편 Meshing 소개 -3-)

한국알테어의 YUNA 입니다! 유한요소해석에 관심있는 모든 분들을 위해 간단한 이론과 HyperMesh를 이용해서 FEA Process를 차근차근 배워보는 “야금야금 CAE: 꿀바른 HyperWorks”를 연재합니다. 1년에 걸쳐 연재할 예정이니 앞으로 한 주에 하나씩 함께 배워요! 제 11편 Meshing 소개 -3-   유한요소 해석을 잘하기 위해 여러가지 Element들의 특징들을 아는 것도 중요합니다. 각 Element에서 기억해야 할 특징 몇가지만 알아볼까요?! 먼저 1D Element 입니다. 1D Element의 [...]

2023-04-25T15:21:26+09:002016년 03월 04일|야금야금 CAE: 꿀바른 HyperWorks|

제 2편 – HyperStudy는 거들 뿐! 원하는 Solver로 셋팅하기

제 2편 - HyperStudy는 거들 뿐! 원하는 Solver로 셋팅하기 HyperStudy의 특징 중 하나가 어떤 솔버를 사용하든 가리지 않는 포용력! 이었습니다. 저희 Atlair의 솔버가 아니더라도! 타사의 솔버라도! HyperStudy를 이용하여 최적화가 가능합니다!   그러면 어떻게 HyperStudy를 이용하여 타 솔버를 사용할 수 있을까요?   답은 Register Solver Scritps 기능에 있는데요. 아주...아주 손쉬운 솔버 셋팅 5단계 방법으로 알려 드리겠습니다!   Edit pull-down 메뉴 클릭하여 [...]

2023-04-24T10:28:26+09:002016년 03월 03일|HyperStudy 필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