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연재

제 3편 – 기본 경계층 이론

  경계층 이론 유체가 어떠한 고체 표면에서 영향을 받으면 경계층이 생성됩니다. 점성에 의해 경계층이 나타나며 경계층은 비점성 영역과 점성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벽면에서의 속도는 느리고 벽면에서 멀어질수록 속도가 자유류속도와 같게 됩니다. 벽면에서부터 자유류속도가 되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경계층이라고 부릅니다. 이외에도 경계층의 종류는 유동 경계층(운동량 전달)과 열 경계층(열전달) 그리고 농도 경계층(물질전달)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유동 경계층 (Velocity Boundary Layer) 일반적으로 유동 경계층은 [...]

2023-04-23T17:50:44+09:002022년 03월 28일|CFD 그것이 알고싶다|

제3편 – IPMSM Design (2) – 영구자석(Magnet) & 회전자(Rotor) 형상 설계

이번 강의에서는 IPMSM의 Rotor design step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Rotor의 외경과 내경은 이미 2편에서 설정하였습니다. 여기에서 설정할 것은 magnet의 형상 및 size입니다.   ▣ Magnet shape 우선 Magnet의 기본 형상을 정해야 합니다. FluxMotor에서 제공하는 magnet type을 라이브러리에서 불러올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MAGNET' - 'Magnet shape'를 클릭합니다.   기본적으로는 Ring type으로 선택이 되어있습니다. 우리는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IPMSM)을 예제로 사용할 예정이므로, 아래와 [...]

2023-04-23T21:56:18+09:002022년 03월 25일|Flux & FluxMotor|

Flux적응기 16편 – Material 1-1 부 ; 정의와 생성 노하우(전계)

안녕하세요 한국알테어 엄두종입니다. 총 3편에 거쳐서 Material을 어떻게 생성하고 관리하는지를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오늘은 1부로 Material 생성에 대해 제가 작업하는 방식과 순서로 1인칭 시점으로 소개합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Material 설정 단계에 왔다는 것은 이미 문제가 정의 된 후 입니다. 문제정의는 크게 전계와 자계로 나뉘는데 Material도 동일합니다. 필수적으로 전계의 경우, 비유전율*(εr) 이 자계의 경우, 비투자율*(μr) 이 필요하며 (*공기 대비 상대 값을 말하며 '비'를 [...]

2023-04-23T21:56:52+09:002022년 03월 14일|Flux & FluxMotor|

제 25편 – Component Library

제 25편 – Component Library 목적 구성 요소 라이브러리에는 안테나 및 플랫폼이 있습니다. 이 도구를 사용하면 새 모델이나 기존 모델에 중심 주파수 변경, 솔버 방법 및 기타 설정을 통해 요구 사항에 맞는 안테나를 생성하여 개발 시간에 대한 구성 요소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안테나와 그 전형적인 특성에 대하여 구성 요소 라이브러리 도구는 학생들이 다양한 유형에 대해 배울 수 있는 좋은 [...]

2023-04-23T18:10:13+09:002022년 03월 04일|Feko: 쉽게 써보자|

제 2편 – CFD의 지배방정식

CFD 측면에서 유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을 이산화하여 대수방정식으로 변환하고 수치기법을 통하여 유동 문제를 해결합니다. 일반적으로 유체의 지배방정식은 연속 방정식, 운동량 방정식, 에너지 방정식 세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를 점성을 가진 유체의 운동을 기술하는 편미분 방정식인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유체역학의 기본인 지배방정식을 간단하게 살펴보고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연속 방정식(Continuity Equation)   [...]

2023-04-23T17:51:21+09:002022년 02월 17일|CFD 그것이 알고싶다|

[제01편] WinProp_AMan 소개 및 설정

제 01편 – WinProp: AMan Introduce 목적 무선 전파 및 무선 네트워크 계획 영역에서 완전한 도구 모음을 사용함으로써 위성에서 지상파까지, 시골에서 도시를 거쳐 실내 Radio Link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정확성과 짧은 계산 시간을 제공하는 도구를 통해 파동 전파 모델을 쉽게 접근하기 위함   AMan 단일 안테나를 생성, 편집 및 분석하며, 여러 안테나를 중첩하여 방사 지역을 고려하면서 실제 안테나 패턴을 결정하기 [...]

2023-04-23T22:25:53+09:002022년 02월 15일|WinProp & WRAP|

제 1편 – CFD 개요

유체역학은 나비에-스토크방정식, 연속방정식, 에너지보존에 관련식과 물성치들의 관계를 통해 물리적인 문제들을 기술합니다. 복잡한 유체의 흐름은 비선형 방정식으로 그 해를 구하기가 매우 어렵고, 많은 실험으로도 결과를 얻어내기 힘든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AE(Computer Added Engineering) 즉, Computer를 이용한 연구 개발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는 컴퓨터를 이용한 열 및 유체유동에 대한 수치적 연구입니다. 또한 CFD는 나비에-스토크방정식에 근간한 수학적 지배방정식들을 [...]

2023-04-23T17:51:59+09:002022년 01월 25일|CFD 그것이 알고싶다|

제 24편 – Cable(4): 케이블 인스턴스 도식화 및 정의하는 방법

제 24편 – Cable(4): 케이블 인스턴스 도식화 및 정의하는 방법   목적 많은 전자기 호환성 및 간섭 문제는 방출되는 케이블과 관련이 있습니다. 방사선을 조사하거나 다른 케이블 장치 또는 안테나에 결합니다. 케이블 모델링 도구와 커플링과 방사를 분석하기   모델에서 케이블 인스턴스 검색 복잡한 케이블 하네스의 경우 3D 보기에서 특정 케이블 인스턴스를 찾는 것은 간단한 작업이 아닙니다. “케이블 찾기” 도구를 사용하여 케이블 [...]

2023-04-23T18:12:00+09:002021년 11월 24일|Feko: 쉽게 써보자|

제 23편 – Cable(3): 케이블 경로 및 커넥터 정의와 솔루션 방법 소개

제23편 – Cable(3): 케이블 경로 및 커넥터 정의와 솔루션 방법 소개 목적: 많은 전자기 호환성 및 간섭 문제는 방출되는 케이블과 관련이 있습니다. 방사선을 조사하거나 다른 케이블 장치 또는 안테나에 결합합니다. 케이블 모델링 도구와 커플링과 방사를 분석하기 위한 솔버로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다음과 같은 용어가 사용됩니다. 케이블 경로 정의 케이블 경로는 케이블이 설치되고 일련의 직선으로 지정되는 정의된 경로입니다. [노트] 케이블 [...]

2023-04-23T18:13:31+09:002021년 08월 09일|Feko: 쉽게 써보자|

제2편 – IPMSM Design (1) – machine size

지난 1편에서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특성을 간략히 소개하였습니다. 지금부터는 FluxMotor에서 영구자석 매입형 동기전동기(IPMSM)를 해석하기 위한 설정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첫번째로는 FluxMotor를 시작하는 방법과, 모터의 기본 size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 FluxMotor 실행 FluxMotor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시작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New motor 항목에서는 FluxMotor에서 제공하는 템플릿을 선택하여 새로운 모터 해석 모델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Recent motors에서는 최근까지 작업하였던 모터 [...]

2023-04-23T21:58:03+09:002021년 06월 24일|Flux & FluxMo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