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정보

[사례로 알아보는 SimLab] 01. Excite Modeling – 커넥팅로드

주제 SimLab을 이용한 모델링 첫번째 사례로써, 커넥팅로드의 Excite 모델링에 대한 내용을 안내 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Excite 모델의 경우 CAP, ROD의 요소 생성 뿐만 아니라 'Body 간의 절점 일치', '베어링, 부쉬의 Node 번호', 'Contact' 등이 다양한 스펙들이 요구가 됩니다. SimLab은 커넥팅로드와 같은 파워트레인 영역의 모델링에 특화된 기능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Excite 모델링 시, 요구되는 모델링 스펙을 기능 하나만으로 간단하게 구현이 가능하며 [...]

2023-04-21T14:07:22+09:002017년 06월 20일|모델링&시각화|

[SimLab] CAD(Parasolid) 단순화 – Fillet, Hole 제거

SimLab 사용자라면 'SimLab은 기본적으로 CAD를 수정할 수 없다'라고 알고 계실 겁니다. 일반적으로 SimLab에서는 Mesh자체에서 형상을 수정하기 때문에 굳이 CAD를 먼저 수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간혹 "Mesh 형상에서 Fillet, Hole 등과 같은 Feature들이 제대로 수정 및 삭제가 될까요?"라고 의문을 갖는 사용자 분들이 많으신데요..SimLab은 Mesh 형상이 CAD Feature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CAD를 컨트롤 하는 것처럼 손쉽게 수정 작업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때에 따라 CAD에서 먼저 [...]

2023-04-21T14:06:23+09:002017년 06월 09일|모델링&시각화|

[SimLab] Mesh 형상이 작은 Feature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다면? – Initial Mesh

SimLab에서 Mesh를 생성하다보면 간혹 CAD의 작은 Feature들이 없어지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는 2D Mesh 생성 시, 지정된 최소 요소 사이즈(ex. 0.5mm) 대비 CAD의 Feature의 길이(ex. 0.5mm 이하)가 작으면 SimLab에서는 해당 Feature를 간소화 하여 Mesh를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요소 품질 확보를 위해 위와 같이 개선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겠지만, 특정 해석 영역에 따라서는 Feature 간소화 없이 모든 CAD Feature를 따라가는 모델링을 해야 하는 경우도 [...]

2023-04-21T14:04:52+09:002017년 06월 07일|모델링&시각화|

[HyperMesh] Convert 기능을 이용한 Input 파일 변환하기

OptiStruct모델 해석 후 결과 비교를 위해  다른 Solver 형식으로 다시 모델링 구성을 하신적 있으신가요? 여기 그 작업을 쉽게 도와줄 기능이 있습니다. 그 기능은 바로 Convert라는 기능입니다. Tools라는 Pull down 메뉴에 있는 이 기능은 한 Solver에서의 Input정보를, 즉 모델링 정보를 다른 Solver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Input파일 정보로 Automatic하게 변환시켜주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변환되는 정보는 다음 아래와 같습니다. OptiStruct To - Abaqus, [...]

2023-04-21T09:08:19+09:002017년 05월 27일|모델링&시각화|

[HyperMesh] hm 파일을 생성한 HyperMesh 버전 확인하기

HyperMesh 하위 버전에서 생성한 파일은 상위 버전에서 불러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상위버전에서 생성한 파일은 HyperMesh 하위 버전에서 불러오실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서 HyperMesh 14 버전에서 생성한 파일은 HyperMesh 2017 버전에서 불러올 수 있으나, 그 반대로는 안된다는 거죠. 그렇다면 내가 생성한 파일이 어느 버전에서 생성하였는지, 내가 사용하는 HyperMesh 에서 불러올 수 있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HyperMesh 의 [...]

2023-04-21T09:08:56+09:002017년 05월 24일|모델링&시각화|

[HyperMesh] Auto property creation을 이용한 Component vs. Property 1대1 적용법

Auto property creation을 이용하면 다양한 Component에 Property를 1대1 생성 및 적용할 수 있습니다. 1. 임의의 Property를 생성합니다. 2. 모든 Components에 1번에서 생성한 Property를 적용합니다. 3. Utility 메뉴에서 Auto Property creation을 클릭합니다. 4. Component 이름과 동일한 Property 생성 및 적용되어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동영상

2023-04-21T09:09:02+09:002017년 05월 24일|모델링&시각화|

[SimLab] Custom Menu의 Float 기능

기본적으로 SimLab에서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에 대해 메뉴 그룹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 페이지 이동 ← 클릭) SimLab 14.3부터는 상단에 고정되어 있던 메뉴 그룹을 Float(별도 창으로 띄우기)가 가능합니다. Float된 메뉴는 SimLab Frame에 Docking이 가능합니다. 또한 Float된 메뉴를 원상태로 메뉴 상단에 고정하고 싶으면 'x'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2023-04-21T14:03:02+09:002017년 05월 16일|모델링&시각화|

[SimLab] Volume Mesh 생성 시, overlap edge 메시지가 발생한다면?

2D Mesh를 기반으로 3D Mesh 생성 시, 간혹 다음과 같은 메세지가 발생할 때가 있습니다. (Ex. Body 1 has overlap edges) 위와 같은 문제는 요소가 겹쳐있는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로 Free Edge Check를 통해서도 확인이 불가한 경우가 많습니다. 1) 초기에 CAD가 이상이 있거나  2) 2D 요소 생성 시, 사용자에 의해 해당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Intersection 기능을 이용하여 문제되는 요소를 찾고 수정 [...]

2023-04-21T14:02:11+09:002017년 05월 16일|모델링&시각화|

[HyperMesh] Rigid의 Dependent Node를 선택하는 다양한 방법

Rigid의 Dependent Node 선택시 선택방법이 다양하지 않아  불편한적이 있으신가요? HyperMesh는 Mesh 베이스로 모델링을 하기 때문에 '원통면', '경계면'의 Node를 선택하는 방법이 쉽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HyperMesh 2017로 업데이트 되면서 Feature 베이스로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여러개의 Dependent Node 선택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그 기능들을  바로 아래 그림들을 통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Dependent Node 선택 방법(multiple node [...]

2023-04-21T09:09:07+09:002017년 04월 17일|모델링&시각화|

[HyperMesh] hmcustom.tcl을 이용하여 원하는 환경으로 자동설정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한번만 세팅하면 HyperMesh 환경설정을 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먼저 준비 과정을 살펴볼까요? 1. HyperMesh 바로가기의 시작 위치를 세팅해 주세요. 이후 해당 바로가기를 이용하여 HyperMesh를 실행합니다.     2. 작업 폴더에 생성된 command.tcl 파일이 생성되었는지 확인해 주세요.     3. HyperMesh의 각종 환경설정을 원하는 세팅으로 변경해 주세요.     4. hmcustom.tcl 이름으로 파일을 생성한 후에 command.tcl [...]

2023-04-21T09:09:13+09:002017년 04월 14일|모델링&시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