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몰랐지 HyperGraph

제 2편 – 파일 관리하기 : Import /Open

이번편 에서는 HyperWorks 실행 후 가장 먼저 하게되는 Import와 Open의 기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yperWorks는 다양한 프로그램에서 작업한 파일을 가져와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순한 형상은 HyperWorks 내에서 생성이 가능하나, Geometry 생성 및 수정 작업은 CAD 프로그램에서 작업하여 불러오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먼저 Import의 기능 및 사용법에 대해 알아볼까요? Import는 원하는 형식의 파일을 불러올 수 있는 기능입니다. 해당 기능은 상단 메뉴바 > [...]

2023-04-25T14:56:12+09:002022년 10월 04일|누구나 쉽게 시작하는 HyperWorks|

제 3편 – 파일 관리하기 : Save / Export

이전 시간에는 Import/Open의 기능을 확인해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서는 HyperWorks에서 작업한 파일을 저장 및 내보낼때 사용하는 기능인 Save/Export 에 관련하여 알아보도록 합시다! 파일 저장 (Save) *hm Save 기능을 통해서 작업하신 파일을 내보내실 수 있습니다. 단, Save를 통해서 파일 저장을 할 시 확장자는 hm 파일로 저장됩니다. [그림1. Save 기능] [그림2. Save as기능] hm파일로 저장을 할 때 저장 경로와 파일 이름을 정하게 될 경우, [...]

2023-04-25T14:55:34+09:002022년 10월 04일|누구나 쉽게 시작하는 HyperWorks|

제 1편 – 어떤 솔버를 이용하여 작업하시나요? : Solver Interface 설정

안녕하세요!  1편 부터는 HyperWorks의 본격적인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까요?? 그 중 첫 단계인 Solver Interface 설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HyperWorks를 실행시켜볼까요? 다음과 같은 팝업창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팝업창은 무엇일까요? [그림 1. HyperWorks 실행 화면] 해당 창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각의 기능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①: HyperWorks 실행 후 유저가 사용하고자 하는 모듈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②: [...]

2023-04-25T14:56:49+09:002022년 09월 26일|누구나 쉽게 시작하는 HyperWorks|

Intro – 연재 시작합니다~ 함께 HyperWorks 기능을 확인해보아요!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HyperMesh, HyperView, HyperGraph 플랫폼이 통합된 HyperWorks에 대해 소개해보도록하겠습니다! 우선 유한 요소 해석을 위한 전처리 프로그램으로 HyperMesh를 많이 사용하고 계시죠? HyperMesh는 Mesing 및 Setup과 관련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많은 기능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할 수 있는 방법도, 사용할 수 있는 패널도 어마어마하게 많이 있습니다. 이런 기능들을 이제는 모두 HyperWorks에서 구현해보실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해석 모델을 구성하는 그 과정에 맞춰서, [...]

2023-04-25T14:58:29+09:002022년 09월 21일|누구나 쉽게 시작하는 HyperWorks|

쉬어가기 – 다른 솔버의 Input 파일로 Convert 하는 방법

User profile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 방법은 (Load User Profile)을 이용하여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해당 내용을 다시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아래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1화. 어떤 솔버를 이용하여 작업하시나요? : User profile 설정 두 번째 방법은 상단 메뉴바에 위치한 Convert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상단 Files >> Convert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Convert 메뉴에서 앞으로 변환하고자 하는 User profile을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그림 1. Convert [...]

2023-04-25T14:57:39+09:002022년 09월 21일|누구나 쉽게 시작하는 HyperWorks|

제 9편 – 유한차분법(FDM), 유한체적법(FVM), 유한요소법(FEM)

유한차분법 (FDM: Finite Difference Method) 미분항을 Taylor 급수전개를 이용하여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즉, 이산화에 요구되는 정확도에 맞추어 격자점이나 그 인접 격자점의 Taylor 급수전개에 의한 관계식을 조합하고 미분항을 근사적으로 표현합니다. 이를 통해 편미분 방정식을 푸는 것을 유한차분법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해석 대상의 형상이 복잡해질수록 좌표축 방향으로 변화율을 정의하기 어렵고, 격자를 복잡한 형상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또한, 물리량 계산이나 보존법칙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

2023-04-23T17:46:22+09:002022년 09월 08일|CFD 그것이 알고싶다|

제 8편 – 벽함수(Wall functions), y+

벽함수(Wall functions) 유동장의 벽면에서의 속도 경계층은 급격하게 변화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벽면에서의 격자를 많이 생성해야 합니다. 이러한 경계층 처리는 계산비용이 상당히 소요되기 때문에 RANS 모델링을 할 때 벽면에서의 전단응력을 처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대수영역(Log-layer)에 적용할 수 있는 공식을 이용하여 벽면에서의 전단응력을 계산하는 벽함수(wall functions)를 적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벽함수는 적은 격자를 이용하여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벽면에서의 어떠한 유동장을 [...]

2023-04-23T17:47:01+09:002022년 08월 22일|CFD 그것이 알고싶다|

제5편 – IPMSM Design (4) – 냉각(cooling) & 재질(materials) 설정

이번 편의 주제는 Design의 마지막 단계인 Cooling & Material 설정입니다. FluxMotor에서 온도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냉각 조건을 설정해야 합니다. Materials에서는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재질을 불러오거나, 또는 새로운 재질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 External Cooling 우선 'COOLING' - 'EXTERNAL' - 'Fluidic'을 클릭합니다. 여기에서는 유동에 의한 냉각 조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Convection mode'에서는 자연 냉각(Natural), 강제 냉각(Forced)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자연 [...]

2023-04-23T21:53:23+09:002022년 08월 16일|Flux & FluxMotor|

Flux 적응기 18편 – Material 2부 ; 적용 및 관리

안녕하세요 Material 1부에서는 생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Flux DB에서 Import와 생성된 Material를 관리하고 적용하는 방법들에 대해 차례로 소개합니다. 1. Flux DB에서 Import 1) 즐겨찾기에서 Import 메뉴는 Physics > Material > Import material.DAT 로 자주 쓰는 재료들을 바로 import 할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이 Import 하는 재료는 구리(FLU_COPPER)와 알루미늄(FLU_ALUMINIUM)으로 주변 온도 따른 저항률이 적용되며 열해석을 위한 열특성 값까지 모두 입력되어 [...]

2023-04-23T21:54:11+09:002022년 08월 04일|Flux & FluxMotor|

Flux적응기 17편 – Material 1-2 부 ; 정의와 생성 노하우(자계)

안녕하세요 이번 편은 자계 재료에 대해 소개합니다. (Flux 적응기 1편에 과 같이 보시면 좋습니다.) 자계 해석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은 투자율 입니다. 생소한 단어인데 의미적으로 "자기 전도도" 를 뜻합니다. 일반적으로 '투자율 얼마에요?' 라고 물으면 '4000 정도 돼요' 라고 답하는데 이 값은 공기대비 투자율로 정확한 명칭은 '비투자율' 인데  '비'를 빼고 말합니다. 자계 해석에서는 (비)투자율을 필수적으로 입력하여야 해석이 가능합니다. Flux에서는 재료 생성메뉴에서 B(H)탭이며 상황에 [...]

2023-04-23T21:54:50+09:002022년 08월 02일|Flux & FluxMotor|